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의 점포가 줄어드는 가운데 현금자동입출금기(ATM)도 올 들어 200개 넘게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현금 사용이 익숙한 고령층 등 디지털금융 소외계층의 불편함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24일 기준 4대 은행이 운영하는 ATM은 1만 6639개다. 지난해 말 설치돼 있던 ATM(1만 6843개)의 수와 비교하면 약 6개월 새 204개나 줄었다. 특히 지난해 말에서 올해 1월 말(1만 6750개)까지 1개월 만에 무려 93개가 없어졌고 2~4월에는 매월 40개 이상 사라졌다. 5월에는 24개 늘어나기는 했지만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시중은행들이 영업점에 이어 ATM마저 없애는 것은 예전만큼 현금 사용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각 은행의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한 디지털금융 거래가 활발하다 보니 비용 절감과 관리 효율화 차원에서 ATM 확대 의지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비대면 결제 서비스가 늘어나고 현금 없는 매장도 많아지고 있다”면서 “은행과 제휴한 사설 ATM도 대부분 고객들이 많이 사용하는 편의점과 예식장·장례식장 등에 이미 설치돼 있다 보니 굳이 은행들이 자체 ATM을 늘리지 않아도 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어 “ATM 한 대당 구입 가격이 약 1000만 원, ATM 설치 후 운영비와 관리비 등이 연간 약 1500만 원 정도 들어간다”면서 “은행들이 ATM 수수료도 면제해주는 상황에서 ATM을 유지할수록 적자인 구조”라고 덧붙였다.
앞서 금융 당국은 디지털금융 소외계층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은행들의 점포 폐쇄 관련 절차를 강화했지만 ATM을 줄이는 것과 관련해서는 당장 조치를 마련하기보다는 일단 추이를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ATM 감소로 금융 소비자의 불편함이 커질 수 있는 만큼 관련 부작용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9일 한국은행이 개최한 ‘화폐유통시스템 유관기관 협의회’에 참석한 참석자들은 지역 등에 따라 은행 점포나 ATM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맞춤형 정책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