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0월 경상수지가 68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2년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수출이 14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플러스)로 바뀌며 ‘불황형 흑자’에서도 벗어난 것으로 평가됐다. 한국은행은 수출 개선세 등을 비춰볼 때 흑자 기조가 분명해진 만큼 연간 전망 300억 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8일 한은이 발표한 국제수지에 따르면 10월 경상수지는 68억 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올해 5월 이후 6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2021년 10월(79억 달러) 이후 2년 만에 가장 큰 폭의 흑자 규모다.
먼저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가 53억 5000만 달러 흑자를 냈다. 수출(570억 달러)이 전년 동기보다 7.6% 증가한 반면 수입(516억 5000만 달러)은 4.3% 감소한 결과다. 특히 지난해 9월부터 이어진 수출 감소세가 14개월 만에 끝났다. 승용차(21.0%), 석유제품(17.7%) 등 주력 품목이 호조를 보인 데다 반도체(-4.8%) 감소 폭이 줄었기 때문이다. 반도체 수출은 11월 들어 통관 기준으로 증가 전환했다. 수입은 원자재(-13.4%), 중간재(-6.3%), 소비재(-4.1%) 등이 모두 줄었다.
서비스수지(-12억 5000만 달러) 적자 폭도 9월(-31억 9000만 달러)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여행수지 적자는 9월 9억 7000만 달러에서 10월 6억 4000만 달러로 줄었다. 중국 관광객 유입이 기대만큼 이뤄지지 않았으나 동남아·일본 등에서 방한 관광객이 늘어난 영향이다. 본원소득수지 흑자도 27억 7000만 달러로 전월보다 확대됐다. 국내 기업의 해외 자회사 배당 수입도 증가하며 서비스수지의 개선을 이끌었다.
한은은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뚜렷해진 만큼 올해 연간 전망치 300억 달러를 무난하게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 들어 10월까지 누적 경상수지는 233억 7000만 달러 흑자인데 남은 2개월에 월평균 33억 1000만 달러 흑자를 내면 달성 가능하다. 다만 분기 배당으로 본원소득수지 흑자가 줄어들 수 있고 연말 난방 수요로 에너지 수입이 늘어날 가능성은 변수로 남아 있다.
한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7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베이징사무소 개소 2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지난 20년 동안 한중 교역이 6배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기술집약형 구조로 발전했다”며 “양국이 함께 직면한 부동산 문제, 과다 부채,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에 대해 상호 협력과 교류로 해결 방안을 모색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