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28일 시작된 서울 서초구의 의무휴업 평일 전환은 대형 마트 업계에 ‘봄날’이 다시 찾아온 것이라는 의미가 있다. 팬데믹 이후 새벽 배송을 앞세운 e커머스에 유통 주도권을 빼앗긴 마트들이 반전의 기회를 마련한 것이기 때문이다. 서울은 물론 전국 다른 지역으로 의무휴업 평일 전환이 확대되면 오프라인에서 식료품을 골라 사는 쇼핑의 즐거움을 추억하는 고객들이 다시 마트로 돌아올 수 있다.
주목할 점은 이번 규제 완화 흐름이 의무휴업일 전환에서 한발 더 나아갈 수 있느냐는 것이다. 현재 마트는 자정부터 오전 10시까지 문을 닫아야 하는 의무휴업 시간 규제도 받고 있다. e커머스가 지금같이 커지기 전 만들어진 유통산업발전법의 이중 규제 때문이다. 해당 법의 효과로 기대했던 전통시장 활성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고려하면 이 법은 마트가 누렸던 과실을 온라인 유통 업체들이 따가게 하는 것에만 기여를 한 셈이다.
마트 업체들이 의무휴업 시간 규제 완화를 기대하는 것은 이런 온라인 유통 업체들과 제대로 한 판 붙어보기 위해서다. 의무휴업 시간 규제가 풀리면 전국 곳곳에 깔린 마트 지점들을 물류창고로 쓸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새벽 배송을 하기 위해 따로 물류창고를 만들 필요 없이 기존 건물을 배송 기지로 사용할 수 있다. 쿠팡을 비롯한 e커머스 업체들이 마트 의무휴업 시간 규제 완화 가능성에 긴장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모든 규제 완화에는 비용이 따른다. 노동자 단체들은 마트 근무자들이 주말에 쉴 수 있는 권리가 사라진다고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기준 국내 주요 마트 3사(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의 지점 수는 396곳으로 5년 전(424곳) 대비 29곳이 줄었다. 마트가 사라지면 직장을 잃은 노동자들은 어디로 가야 할까. 일부는 24시간 운영되는 쿠팡 물류창고로 일을 나가야 할 것이다. 주말은 물론 새벽도 없는 곳이다.
관련기사
의무휴업 시간 규제가 풀리면 유통 주도권을 쥐었다고 생각해 방심하는 e커머스 업체들이 심기일전하는 계기도 된다. 일각에서 쿠팡의 제품 가격이 과거처럼 싸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오는데 다시 소비자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유통 업계가 바뀔 수 있는 것이다. 마트의 봄이 더 가까이 다가오면 결국 좋아지는 것은 소비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