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물가 하락 기대가 통화 당국의 긴축 효과를 약화시킨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2일 내놓은 ‘BOK경제연구: 기대 인플레이션 불일치와 통화정책 파급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기대 인플레이션의 불일치 정도가 높으면 통화정책 효과가 약화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시장 참가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 정도가 크게 다를 경우 긴축적 통화정책이 물가를 낮추지 못했고 성장률 전망이 오르는 식으로 반대로 움직인다고 밝혔다. 향후 인플레이션 경로에 대한 의견이 비슷하면 긴축적 통화정책이 물가를 낮추고 실물경기를 둔화시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향후 인플레이션 흐름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 전통적 파급 경로를 통한 통화정책 효과가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며 “시장 참가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기대 인플레이션의 불일치 정도를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중앙은행이 물가 목표치를 시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는 것과 통화정책과 관련해 미리 방향성을 알려주는 포워드 가이던스 제시 등을 꼽았다. 한은은 이창용 총재 취임 후 2022년 10월부터 3개월 시계로 기준금리 전망치를 내놓는 한국형 점도표인 포워드 가이던스를 도입한 바 있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내수 둔화를 이유로 물가가 하락해 한은이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선제 인하 심리가 과도하게 확산하고 있다”며 “이런 움직임은 되레 지금까지의 긴축에 따른 노력을 상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