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딥테크 기업이나 글로벌 퍼스트무버 기업이 코스닥에 신속히 진입할 수 있도록 최대한 심사 속도를 내고 좀비 기업 퇴출에도 좀 더 과감하게 나서겠습니다.”
민경욱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은 9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국내 벤처기업들이 인수합병(M&A)이 잘 안 돼 기업공개(IPO)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너무 심사 기간이 길다는 지적을 뼈아프게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업들의 상장 예비 심사 청구가 늘어나고 기술 난도가 높아지는 게 현실이지만 상장 심사에 속도를 내기 위해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했다. 또 좀비 기업을 과감히 퇴출시켜 시장 진입·퇴출의 균형을 통해 코스닥 브랜드 가치를 높이겠다고 했다.
민 본부장은 “바이오팀, ICT팀, 소재·부품·장비팀에서 상장 예비 심사를 하는데 상장 주관사와 사전 협의를 늘리고 선입선출 심사 원칙에서 벗어나 쟁점이 없으면 유연하게 빨리 허가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45영업일 내 상장 예비 심사를 마치도록 돼 있지만 실제 4~5개월 이상 적체되고 심지어 1년가량 계류되는 경우도 있는데 보다 신속하게 대처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총 1700여 개 기업이 상장돼 있는 코스닥 시장의 진입과 퇴출 숫자는 스팩을 제외하고 2022년 각각 84개·24개, 지난해 95개·15개이며 올해는 8월까지 51개·15개를 기록하고 있다.
민 본부장은 “현재 53개 기업을 심사하고 있는데 최근 상장 예비 심사 기간을 한 달 이상 단축했다”며 “미국 등 해외처럼 M&A가 활성화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혁신 기업의 성장을 돕는다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가 혁신 벤처·스타트업의 M&A 활성화를 위해 노력 중인데 민간과의 협력을 확대해 효율적 투자 회수 시장을 조성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부실 기업의 경우에도 회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되 좀비 기업이 되지 않도록 퇴출 과정에서 진행하는 세 차례의 위원회 절차를 줄일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상장폐지가 결정된 좀비 기업들이 퇴출을 지연시키고자 소송 법적 절차를 밟는 경우가 많은데 법원에서 보다 신속히 처리해줬으면 한다고 희망했다.
그는 “코스닥이 불공정거래와 불성실 공시 등으로 평판이 그리 좋지 않다는 일부 지적이 있다”며 “혁신 성장의 아이콘 역할을 할 수 있는 선순환 환경을 만들어 코스닥 디스카운트 해소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코스닥 시장의 밸류업 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펴고 내년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도 폐지하게 되면 투자심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