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전체 가계 빚이 1900조 원을 넘겼다. 증가 폭 기준으로는 3년 만에 최대다.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16조 원이나 불어난 영향이 컸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 신용’에 따르면 3분기 말 가계 신용 잔액은 1913조 8000억 원이다. 전 분기 대비 18조 원 증가한데다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를 공표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가계 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대부 업체, 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 신용)까지 포함한다.
가계 신용은 △지난해 2분기 8조 2000억 원 △3분기 17조 원 △4분기 7조 원 등 3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이다 올 1분기(-3조 1000억 원) 들어 감소세로 전환했다. 하지만 2분기 13조 4000억 원에 이어 3분기 18조 원까지 2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전분기 대비 기준 3분기 증가 폭은 2021년 3분기 35조 원 이후 최대치다.
카드 사용액을 뺀 가계대출은 1795조 8000억 원으로 전 분기 말(1779조 8000억 원) 대비 16조 원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112조 1000억 원으로 수도권 주택 매매 거래가 늘면서 19조 4000억 원이나 불었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이 석 달 사이 주담대를 중심으로 22조 7000억 원 늘었다. 예금은행의 기타대출의 증가폭은 소폭 축소됐지만 주담대의 증가폭이 확대되면서 전체적으로 증가 규모가 커졌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683조 7000억 원으로 3조 4000억 원 줄어 12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가계 신용이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한은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장기 평균(2015~2023년) 증가 폭인 22조 2000억 원을 하회한 점을 들었다. 또 3분기까지 가계 신용 누적 증가율은 1.5%로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내에서 관리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경제 규모가 커짐에 따라서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면서 “가계부채를 급격히 줄이면 소비 등 실물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부와 한국은행은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점진적으로 하향 안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