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잔금대출 규모를 3000억 원 확대해 입주 예정자들의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최근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대출금리는 요지부동이라 비용 부담은 여전하다. 새해 들어 은행들이 대출 영업을 잇달아 재개하고 있지만 가계대출 관리 기조가 여전하고, 은행채 금리 반등이 겹치면서 금리 인하에는 소극적인 모습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은 이달부터 둔촌주공 잔금대출에 2000억 원 규모의 한도를 증액했다. 기존에 책정한 2000억 원을 포함하면 농협은행이 취급하는 둔촌주공 잔금대출 규모는 총 4000억 원에 달한다. 금리는 지난해와 동일한 ‘5년 시장금리(MOR)+1.3%포인트’로 이날 기준 연간 4.36% 수준이다. 우리은행도 이달부터 둔촌주공 잔금대출에 대한 한도를 1000억 원 추가했다. 지난해 대출 총량 제한에 따라 시중은행 중 가장 적은 한도인 500억 원을 배정했지만 새해 들어 대출 여력이 생기자 한도를 2배로 늘린 것이다. 신한은행도 지난해 부여한 1000억 원 규모의 잔금대출 접수를 올해부터 시작했다.
당초 둔촌주공 입주 물량을 감안할 때 필요한 대출 규모는 최소 3조 원 이상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시중은행이 편성한 한도는 9500억 원에 불과해 자금난이 커졌고 상호금융권 대출이 급증하기도 했다. 하지만 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이 대출 한도를 더 늘려 기존 △농협은행 4000억 원 △KB국민·하나은행 3000억 원 △우리은행 1500억 원 △신한은행 1000억 원 등 이날 기준 은행들의 대출 여력은 총 1조 2500억 원으로 늘었다.
다만 대출금리는 지난해 수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에 섣불리 금리를 내리기 어렵다는 게 은행권 전반의 분위기다. 실제 금융 당국은 올해부터 은행마다 가계대출 잔액 목표치를 분기별로 받을 예정이다. 금리를 다른 은행에 비해 크게 낮췄다가는 ‘대출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금융 당국이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넘긴 은행에 대해 ‘페널티’를 예고한 가운데 구체적인 규제 수위가 정해지지 않아 선제적인 금리 인하는 시기상조라는 목소리도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중 12월 말까지 연간 목표치를 맞춘 은행은 KB국민·NH농협은행으로 나머지 3개(신한·하나·우리) 은행은 모두 페널티를 받을 예정이다.
기준금리 인하와 달리 시장금리가 오르면서 은행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금리가 7개월 만에 4.6%를 넘어서면서 고정형 주택담보대출의 준거 금리인 5년 만기 금융채(은행채 AAA 등급·무보증) 금리도 반등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9일 연내 가장 낮은 연 2.889%까지 하락한 은행채 금리(5년물)는 같은 달 26일 연 3.149%까지 올랐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대출 총량을 준수하지 못한 것에 대한 페널티와 분기별 제출하는 대출 잔액 등 금리를 섣불리 내리지 못할 요인은 다양하다”면서 “그 와중에 은행채 금리까지 소폭 반등하면서 대출금리 인하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