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부처마다 외부 접속이 가능한 PC에서 딥시크(DeepSeek) 접속을 차단하고 있는 가운데 국가 주요기관인 한국은행은 “향후 국가정보원의 구속력 있는 조치에 따르겠다”면서 유보적인 입장을 내놨다.
한은은 6일 “아직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 건 아니"라면서 "국정원이 공공기관을 상대로 ‘딥시크을 차단하라’는 IT 지침을 내리게 되면 이에 따르겠다"고 밝혔다. 현재 한은 내부에서 딥시크와 챗GPT를 포함한 생성형 AI 사용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안보·경제부처를 중심으로 딥시크 차단 조처가 확산하는 만큼 국가의 주요 정보를 다루는 한은도 ‘딥시크 경계령’ 사정권에서 완전히 배제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행정안전부가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달라고 요청한 뒤 접속을 차단하는 부처가 늘고 있다. 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날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고 기획재정부는 이날 차단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금융권도 딥시크 차단에 동참하는 기류다.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31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은 3일부터 안전성 검증을 이유로 딥시크 접속을 막았다.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도 데이터 수집·학습 관련 보안성 검토가 완료될 때까지 딥시크 서비스를 차단 중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