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프리즘* 맞춤형 경제 브리핑
* 편집자 주: ‘AI PRISM’(Personalized Report & Insight Summarizing Media)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뉴스 추천 및 요약 서비스’입니다. 독자 유형별 맞춤 뉴스 6개를 선별해 제공합니다.
금융당국이 100조원을 마련해 고율 관세에 노출된 기간 산업을 지원한다. 미국발 관세 전쟁에 대응하는 차원이다. 이를 위해 산업은행에 50조 원 규모의 별도 기금을 마련한 뒤 시중은행들이 50조 원의 투자 금액을 추가로 투입하는 방식이다. 재원은 기업 지분투자와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 형태로 집행한다.
북미 지역 반도체 매출이 지난해 41.4% 급증하면서 글로벌 1위(1860억달러)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대만·중국은 1819억달러, 한국 등 아태 지역은 1513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 정부 지원 본격화
금융위원회가 ‘첨단전략산업기금 추진 방안’을 마련하고 금융사와 조율 중이다. 산업은행 50조원, 시중은행 50조원 등 총 100조원을 기업 지분투자와 신디케이트론 형태로 지원할 방침이다. 첨단산업 외에도 자동차·철강·석유화학 등 수출 주력 업종 중 고용이 큰 사업도 지원한다. 설비투자와 연구개발(R&D), 인프라 구축 등에 자금을 투입할 계획이다.
■ 배터리 기술 혁신
LG에너지솔루션(373220)이 전고체전지의 충전 속도를 10배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세계적 석학인 셜리 멍 시카고대 교수와 공동연구로 진행했다. 전고체전지에 얇은 실리콘 층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무음극 전고체전지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유한양행은 국내에서 렉라자 단독 요법으로 품목 허가를 얻었다. 유한양행은 128년 한국 제약 산업 역사상 처음으로 매출 2조 원을 돌파했다.
■ 거래 시장 변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가 3월 4일부터 주식 거래 시간을 12시간으로 확대한다. 첫 단계로 10개 종목이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거래되며, 5주차에는 800개 종목으로 확대된다. 수수료는 한국거래소 대비 20~40% 낮고, 4월말까지 면제된다. 한편, MSCI 한국지수에서 롯데케미칼 등 11개 종목이 제외되어 수급 변동이 예상된다.
[투자자 관심 뉴스]
1. 100조원 투입…‘제조업 방어막’친다
관련기사
- 핵심 요약: 산업은행과 시중은행이 각각 50조원씩 투입한다. 기업 지분투자와 신디케이트론으로 재원이 집행된다. 지원 자금은 설비투자, R&D, 인프라 구축에 활용 가능하다. 당국은 기업별 한도 제한이 없이 지원할 방법을 검토할 계획이다.
2. AI·리쇼어링에 매출 급등 …반도체시장 ‘美 독주체제’
- 핵심 요약: 북미가 1860억달러 매출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 1위를 차지했다. AI 수요와 리쇼어링으로 성장이 가속화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SIA는 미국 내 반도체 제조 용량이 2032년까지 3배 증가할 전망했다.
3. 충전 속도 10배 향상…LG엔솔 ‘꿈의 배터리’ 개발 성큼
- 핵심 요약: LG에너지솔루션이 전고체전지 충전 속도를 10배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전고체전지에 얇은 실리콘 층을 도입해 리튬 금속의 결정 성장 방향을 제어하여 균일한 전착을 유도하는 기술로 알려졌다.
[투자자 참고 뉴스]
4. 유한양행의 ‘신약 무한도전’…年 매출 2조 신기원
- 핵심 요약: 유한양행이 얀센에 기술수출한 폐암 신약 렉라자가 미국 FDA 승인과 함께 판매 개시로 매출 2조678억원을 기록했다. 존슨앤드존슨(J&J)는 올해 렉라자 매출 50억달러를 전망했다.
5. 내달 4일 출범 NXT, 제일기획 등 10개 거래
- 핵심 요약: 대체거래소가 3월 4일부터 10개 종목의 12시간 거래를 시작한다. 수수료는 한국거래소 대비 20~40% 저렴하다. 5주차까지 800개 종목으로 확대된다.
6. 롯데케미칼 등 11개사 MSCI 한국지수서 제외
- 핵심 요약: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지수 구성 종목에서 롯데케미칼과 한미약품(128940) 등 11개 종목이 제외되고 신규 편입은 없었다. 지수 변경은 이달 28일이며 유효 시작일은 3월 3일부터이다. 자금 유출 영향은 LG화학우(21.7배), 넷마블(14.3배), GS(13.5배)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키워드 TOP 5]
산업지원확대, 거래시간연장, 기술혁신가속, 미국시장공략, 수급변화대응, AI PRISM, AI 프리즘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