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간 연구자들과 함께 과학기술 연구개발(R&D) 경쟁력의 밑바탕인 기초연구 분야를 키우기 위한 전략 마련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와 연구계가 참여해 기초연구의 질적 고도화 전략을 도출하는 ‘기초연구 전략대화’를 구성하고 1차 회의를 가졌다고 19일 밝혔다. 정부의 기초연구 예산은 올해 2조 9300억 원으로 국가R&D 예산의 10% 비중을 차지한다. 기초연구 지원이 양적으로는 확대된 만큼 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고 지원책 효과를 높이기 위한 질적 고도화 방안을 민간 의련수렴을 통해 찾겠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전략대화에는 이준호 서울대 기초과학연구소장 등 연구관리 전문기관 및 기초연구와 기초연구 정책 수립 등에 다년간 참여해온 연구계 인사들이 참여한다. 대학 행정의 최고위 인사들도 참여해 대학 연구 경쟁력 향상과 연구행정 선진화 방안 등도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1차 회의에서는 기초연구 비전 제시를 위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뤄졌다. 과기정통부는 다음달 초 ‘최적의 개인 기초연구 지원체계 마련’을 주제로 2차 회의를 연다. 향후 기초연구 지원체계 정립, 대학의 연구경쟁력 향상, 책임있는 기초연구, 부처 및 산·학·연의 벽허물기 등을 논의할 방침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기초연구 전략대화가 기초연구의 양적 확대를 넘어 질적 고도화를 위한 비전과 전략을 도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정부와 민간이 함께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형성하는 새로운 정책 형성 모델의 선도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