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5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3.0%에서 2.75%로 0.25%포인트 내렸다. 지난해 10~11월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낮춘 뒤 석 달 만에 다시 인하에 나선 것이다.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2%대로 내려선 것은 2022년 10월 이후 2년 4개월 만이다. 원·달러 환율 불안이나 가계부채 같은 문제보다 눈앞의 내수 경기 침체가 더 큰 과제라고 본 것이다.
실제 한은은 이날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전망치인 1.9%보다 0.4%포인트나 인하한 수치다. 올 1월 비공식적으로 제시한 전망치인 1.6~1.7%보다도 더 낮다. 한은은 또한 이날 별도 보고서에서 미국과 주요 국가의 관세 전쟁이 격화되는 시나리오 아래 우리나라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이 각각 1.4%까지 내려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날 제시한 내년도 성장률이 1.8%였는데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면 0.4%포인트가 추가로 더 떨어질 수 있다고 예측한 것이다.
우리나라 성장률이 좀처럼 회복되기 어렵다는 우울한 전망도 내놓았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내년도 경제성장률 전망도 낮아 위기라는 지적에 대해 “우리나라의 실력이 이 정도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산업의 구조조정을 제때 하지 않아 신산업 육성이 지연되고 있다는 게 이 총재의 판단이다.
한편 이날 금리 인하 결정은 금통위 위원 전원의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다만 향후 금리 경로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금통위 위원 6명 중 4명이 3개월 후 금리에 대해 2.75%가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총재는 “시장에서 전망하듯이 올해 1~2회 정도 기준금리를 더 내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도 “다만 그 시점은 경기 외에도 여러 상황을 보면서 시점을 선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편성 여부와 환율 흐름, 미국의 관세정책 등을 살펴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