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한국 경제의 온기가 식고 있다고 넉 달째 경고했다.
7일 KDI는 ‘경제동향 4월호’에서 “대외 여건이 급격히 악화되며 경기 하방 위험이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올해 1월 “하방 위험 증대”, 2월 “하방 위험 고조”라고 진단한 데 이어 3월과 4월 “하방 압력 확대”를 언급한 것이다.
특히 KDI는 이번에 대외 여건의 급격한 악화를 우려했다. 미국의 통상정책 변화 등 대외 여건이 악화되면서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심리가 위축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2일(현지시간) 당초 예상을 웃도는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확인하면서 경계 수위를 한층 끌어올린 셈이다.
분기별 총수출액 증가율은 2024년 3분기 10.5% → 2024년 4분기 4.2% → 2025년 1분기 -2.1%로 지속 하락하고 있다. 이는 고성장세를 보였던 ICT 수출액 증가폭 축소(2024년 3분기 38.5% → 2024년 4분기 27.5% → 2025년 1분기 6.1%)에서 주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4월 들어 미국의 관세인상이 본격화됨에 따라 수출 여건이 더욱 나빠질수밖에 없게 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3일 오전 0시1분부터 미국 밖에서 생산된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예외 없이 부과하기 시작했다. 5일부터는 세계 모든 나라에 10%의 기본 관세를, 9일엔 국가별로 차등화된 개별관세를 추가한 상호관세가 적용된다.
수출기업이 받을 타격은 돌고 돌아 국내 생산과 소비에도 악영향이 예상된다. KDI는 “평균가동률(73.5% → 73.1%)이 하락하는 등 제조업생산은 다소 조정되는 모습”이라고 해석했다.
개별소비세 인하 효과로 승용차 판매가 반등했으나 전체 상품소비의 부진은 이어졌다. 서비스소비도 숙박·음식점업을 중심으로 미약한 흐름이 지속됐다. 3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3.4로 지난해 12월의 극심한 위축에서 벗어나고 있으나 여전히 기준치(100)를 하회하는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