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19일 대전 유성구 ‘카이스트(KAIST) 인공지능(AI) 팩토리 랩’을 찾아 현재 5%에도 못 미치는 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2030년 4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이날 열린 ‘제2차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간담회’에서 “시장을 가장 잘 아는 기업을 중심에 두고 예산·세제·금융·규제완화 등을 패키지로 지원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제조업 전반의 AI 팩토리 구축·확산을 통해 생산성 제고뿐만 아니라 소비자 맞춤형 수요 대응(다품종 유연생산 시스템)부터 탄소 감축 및 작업장 안전 확보까지 우리 제조업을 A부터 Z까지 탈바꿈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우리가 가진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역량에 AI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세계를 선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지난해 26곳을 선정한 AI 팩토리 선도사업 공장을 5년 내 500곳으로 대폭 확충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한 재정·세제 지원을 강화한다. 우선 스마트공장 구축·확산 지원 예산을 올해 2361억 원에서 내년 4366억 원으로 84.9% 증액한다. 2028년 12월 말까지 한시적으로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관련 사업용 유형자산에 대한 가속상각(50% 범위 내)하는 제도도 신설한다. 가속상각을 활용해 기업들이 설비투자 초기에 감가상각을 많이 적용할 경우 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금융권과 협력해 AI 팩토리 참여 기업 등에 최대 10조 원 규모 전용 보험상품, 2000억 원 규모 대출 등을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구 부총리는 이날 ‘청년 주간’을 맞아 청년 연구자 간담회에도 참석했다. 청년 연구자들은 “AI로 대표되는 혁신의 물결은 연구현장에서 시작된다”며 “AI를 자유롭게 접목하고 마음놓고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정부는 AI 선도 연구과제 확대 등을 통해 1만 1000명의 고급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화답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