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의 달러 대출 잔액이 1년 새 2조 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환차손 부담이 커진 수출입 기업들이 대거 상환에 나서며 달러 차입을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10일 금융계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달러 대출 잔액은 4일 기준 69억 1300만 달러(약 10조 2500억 원)로 집계됐다. 지난해 4월 말 대비 14억 3100만 달러(약 2조 1097억 원) 급감했다. 2023년까지만 해도 100억 달러를 웃돌던 잔액은 지난해 80억 달러대로 내려앉은 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매달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달러 대출은 기업이 수출입에 필요한 자금을 융통할 목적으로 조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업들은 통상 3년 만기로 대출을 일으키지만 별다른 변수가 없으면 일반적으로 만기를 연장하며 필요 자금을 안정적으로 조달해왔다. 예년과 달리 달러 대출이 크게 줄고 있는 것은 지난해 말부터 비상계엄과 탄핵 여파에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선을 크게 웃돌면서 원화 약세 흐름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달러자금을 대출한 기업 입장에서 보면 원화 가치가 떨어질수록 원화로 환산한 상환 부담이 커진다.
한미 간 금리 차가 크게 벌어지면서 기업이 달러 대출을 받을 유인이 줄어든 점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내리면서 한미 기준금리 차이는 1.7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미국이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2년간 제로금리를 유지할 때만 해도 달러 대출을 받는 게 상대적으로 유리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완전히 역전된 모양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일으킨 달러 대출 만기가 지난해부터 차례로 돌아오면서 달러 대출 상환 규모는 더 커졌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국내 유력 대기업 한 곳이 기존 달러 대출을 상환하면서 시중은행 한 곳에서만 한 달 만에 잔액이 8억 달러 이상 줄었다.
은행권 역시 달러 대출 확대에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 환율이 상승하는 시점에 외화 대출을 늘릴 경우 원화 기준 회계 장부상 위험가중자산이 증가해 자본비율이 낮아지는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원화 약세로 외화자산 관리 부담이 커진 가운데 대출 수요가 줄어든 기업들을 무리하게 붙잡을 필요도 없다는 분위기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처럼 자본건전성을 고려해야 할 때는 달러 대출을 꺼리는 것이 당연하다”며 “시장 흐름에 맞춰 조기 조정에 나선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미중 관세전쟁의 여파로 위안화 약세가 심해져 원화가 동반 하락하고 있는 터라 달러 대출 감소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달러 대출이 준 것은 기업들의 수요가 줄어든 게 주요 원인”이라며 “원화 약세 때 달러 대출이 늘면 재무 부담이 더 커지는 만큼 은행 입장에서도 굳이 대출 연장을 유도할 필요가 없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