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되는 모든 철강 제품에 25%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국내 철강 업계에 초비상이 걸렸다. 특히 트럼프 정부가 현행 철강 수출 쿼터를 축소 또는 폐지하면서 25% 관세를 부과하면 대미 철강 수출은 사실상 막힐 것으로 우려했다. 대미 철강 쿼터를 일단 사수하더라도 25% 관세가 실행되면 풍선 효과로 인해 전 세계 철강 업체들의 경쟁 과열로 포스코와 현대제철(004020) 등의 수출 위축과 수익성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집권 기간인 2018년 외국산 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는데 우리나라는 협상을 통해 매년 263만 톤까지는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할 수 있는 쿼터제에 합의했다. 263만 톤은 2015~2017년 평균 수출량의 70% 수준이다. 관세를 피하는 대신 대미 수출량이 줄어드는 손해를 감수한 것이다. 미국은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EU) 등을 상대로 철강 쿼터제를 시행하고 있다.
철강 업계는 미국이 기존 할당량을 줄이거나 쿼터제를 폐지하면 타격이 엄청날 것으로 우려하고 정부에 수출 쿼터 유지를 최우선으로 요청했다.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재한 철강 업계 간담회에서도 기업들은 수출 쿼터 유지를 건의했다. 미국은 한국 철강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물량 기준으로 3위(9.8%), 금액 기준으로는 6조 3000억 원에 달해 1위(12.4%)일 만큼 핵심 시장이기 때문이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관세 부과에 이어 수출 물량까지 건드리면 그나마 철강사들이 돈을 벌던 수출에서도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쿼터제가 유지되더라도 25%라는 관세율이 지나치게 높아 쿼터 물량을 초과한 대미 수출은 불가능하고 업계의 수익성은 크게 훼손될 수밖에 없다. 철강 산업의 이익률은 5% 안팎인데 25% 관세를 부담하면서 수출 채산성을 기대하기는 어렵게 된다. 국내 철강사의 미국 사무소 관계자는 “실제 관세가 부과되면 손해를 보고 수출해야 하기 때문에 쿼터 물량 이외 철강재의 미국 수출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고 말했다.
철강 업계의 바람대로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관세 부과가 중국 등 비(非)쿼터 국가를 상대로만 시행된다고 하더라도 25% 관세 부과가 시행되면 그 피해는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관세 부과가 실행되면 줄어든 대미 수출 물량이 다른 나라들로 유입되며 철강재의 가격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미 국내 철강사는 중국산 후판과 열연, 일본산 열연 등 저가 철강재가 물밀 듯 유입되며 수익성이 크게 악화된 상태다.
한 철강 업계 관계자는 “한국을 겨냥하지 않았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조치가 어떤 형태로든 시행되면 국내 업체들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며 “중국이 밀어내기식으로 저가 철강재를 쏟아내며 철강사들의 수익성이 개선될 조짐조차 보이지 않고 있는데 미국마저 무역장벽을 높이면 국내 철강 산업의 경쟁력은 크게 후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 관세를 실제 실행하면 자동차·가전 등 국내 연관 산업 역시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 제품 가격이 관세 부과로 치솟으면 미국에서 자동차와 가전제품 등을 생산하는 현대차(005380)·기아(000270), 삼성·LG전자 등의 원자재 비용 부담은 높아지게 된다. 특히 자동차 업계는 미국이 멕시코에도 관세 부과를 추진 중이어서 트럼프의 관세를 피할 길은 더욱 좁아진다.
이에 따라 현대제철이 검토 중인 미국 내 제철소 건설 계획이 급물살을 탈 수도 있지만 트럼프 정부가 철강 관세 부과 등을 통해 US스틸의 부활에 힘을 싣고 있어 한편으로는 미국 제철소 건설 프로젝트는 더욱 어려워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뿐 아니라 내수 물량까지 최대한 US스틸로 돌리기 위해 애를 쓰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모든 수입 철강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발언 역시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관련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는 점이 이를 대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US스틸이 미국의 위대한 기업이었지만 나쁜 정부와 경영 때문에 쇠락했다”면서 이번 관세 부과가 US스틸을 위한 정책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철강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확실한 것이 없어서 상황을 지켜볼 수밖에 없다”면서 “관세 부과 여부가 명확해지면 준비 중인 대응 전략을 실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